dice.camp is one of the many independent Mastodon servers you can use to participate in the fediverse.
A Mastodon server for RPG folks to hang out and talk. Not owned by a billionaire.

Administered by:

Server stats:

1.7K
active users

#티알토돈

1 post1 participant0 posts today

dungeon-world.com/stats-condit

던전 월드 2 제작자들이 밝힌 후속작의 차이점들.

1. 기존 D&D의 6능력치 대신 기동형 페이트식으로 강하게, 은밀하게... 이런 식의 능력치로 바뀜

2. HP나 피해 대신 마우스 가드 식으로 상태(분노,당황,부상,혼란,병듬)를 얻게 됨. 상태를 얻으면 판정에 영향. 상태는 픽션 속에서 적절한 조치를 한 다음 휴식을 취하면 사라짐.

3. 위험 돌파 액션: 어둠칼 방식으로 "저항" 점수 사용. 각 능력치 당 저항 점수 1점씩. 휴식을 취하면 저항 점수 회복.

Dungeon World · Stats, Conditions, and Defying Danger in Dungeon World 2Earlier this week, Helena wrote about The Problem with Hit Points in Dungeon World 1 and why we'll be using something else in DW2. One of our core aims in DW2 is to have the mechanics elevate character roleplay. This means inspiring exciting choices, easily assisting expression, and prioritizing narrative

'스토리패스 울트라 메뉴얼'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 훑어보는 타래.

1. 스토리텔러 시스템의 뒤를 잇는 10면체 다이스풀 시스템. 8 이상 나온 주사위 하나 당 성공수 1. 10은 성공수 2로 친다. 판정 난이도는 성공수 1~5.

2. '강화'는 성공수가 하나라도 나왔을 때 판정 결과를 1~3 늘려주는 보너스.

3. 최소 성공수보다 주사위 성공수가 더 많이 나오면 초과 성공수로 이런 저런 특수 효과를 얻거나, 판정으로 겪을 골칫거리를 막을 수 있다.

4. 판정 결과가 실패나 대실패면 '모멘텀'이라는 점수를 얻음. 축적한 모멘텀을 쓰면 판정에 강화를 얻거나, 판정 실패를 성공으로 바꾸거나, 픽션 속 요소를 임의로 추가하는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5. 특정 분야에서 '이점'을 가진 캐릭터는 다른 캐릭터와 대결할 때 판정이 더 유리함.

그러고보니 브릿지로 연결한 블루스카이 포스트도 해시태그를 달면 연합우주로 연결할 수 있으려나? 실험해봐야겠다. RPG 이야기: Iron Valley는 스타듀 밸리와 동물의 숲을 모티브로 한 솔로 RPG입니다. 시스템은 Ironsworn을 기반으로 합니다. mkirin.itch.io/iron-valley #티알토돈 #trpg

Iron Valley by M. Kirin

itch.ioIron Valley by M. KirinA cozy ttrpg powered by Ironsworn.
Continued thread

#티알피지 #디앤디2024 #티알토돈
크로마틱 드래곤(악성향 드래곤)만 두 종류를 올리고, 메탈릭 드래곤(선성향 드래곤)을 골드 드래곤만 올렸으니 개인적으로 삽화에서 보여주는 게 재미있는 카퍼 드래곤까지 올리고 드래곤 이야기는 여기까지 해볼까 해요.

몬스터 삽화 이야기를 안하겠다는 건 아니고(머슥)

카퍼 드래곤의 경우 호기심이 많고, 휴머노이드와 교류하는 것을 정말 좋아하는 이상한 친구에요. 또한 기존 판본에서는 유머를 정말 좋아해서 오죽하면 서식 환경이 겹치는 크로마틱 드래곤 중 하나가 카퍼 드래곤의 농담을 버티지 못하고(....) 서식지를 옮기거나 치고 박고 싸우거나 둘 중 하나를 한다고 했었는데...

2024판의 일러스트에서는 호기심 많고, 유머러스하며, 사람 뿐 아니라 다른 존재와의 소통을 즐거워하는 납작하게 눌러말해 "극한 E" 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카퍼 드래곤 웜링의 일러스트에서는 이미 책을 읽고 있고(...) 어덜트의 일러스트에서는 충분히 도와줄 가치가 있는 영웅에게 마법의 검을 선물하고 있으며...

이번 드래곤 일러스트 개편에서 제일 좋아하는 일러스트는 역시 에인션트 카퍼 드래곤이에요. 묘사와 이미지 자체를 보면 선성향 드래곤들인 메탈릭 드래곤과 더불어 크로마틱 드래곤의 웜링마저 함께 돌보고 있어요. 미래의 위협을 경계하면서, 자신의 은신처... 그러니까 드래곤에게 있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레어를 "선"의 안식처로서 개방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저는 2024판 삽화의 카퍼 드래곤을 사랑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Continued thread

#티알피지 #디앤디2024 #티알토돈
이런 의미에서 어떻게본다면... 그린 드래곤과 블랙 독과 산성이라는 특성상 기존 판본의 삽화에서 보여주는 것으로는 이미지가 겹칠 수도 있었단 말이지요. 물론 묘사 되는 성격이 한결같이 다르긴 했지만, 보이는 모습만으로는 이미지가 비슷했다고 부정은 못한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그린 드래곤 역시 2024판에서 바뀐 삽화로 인해 그 이미지가 확고해졌어요.
울창하고 어두운 숲의 폐허, 물가에서 희생자를 조용히 기다리며 에인션트로 성장했을 떄에는 제 하수인들을 조종하며 나라, 차원, 종국에는 죽음마저 자신의 손아래 두려는 탐욕스러운 Mastermind 스러운 모습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지요.

삽화에서 보여주는 것은, 설명보다도 더욱 확고하게 많은 것을 보여주고 있고 2024판 몬스터 매뉴얼의 일러스트들은 이렇게 지향하는 바가 명확하기 때문에 드래곤 삽화가 아니라 그저 판타지 몬스터 삽화 도감으로서 몬스터 매뉴얼을 구매해도 진짜 후회 안할 거에요. 자꾸 판촉사원같은 이야기를 하는 데 연합우주에서 디앤디 판촉하는 사람이 적으니까 저라도 해야지요(?)

Continued thread

#티알피지 #디앤디2024 #티알토돈
하여간 드래곤 이야기가 조금 더 하고 싶어져서 한다면, 기존에 디자인 상으로 아쉬움을 느꼈던 드래곤들이 리디자인을 받아서 정말 개인적으로는 만족하고 있어요.

블랙 드래곤의 경우, 해골과 같은 얼굴을 하고 있다는 묘사가 오래전의 판본서부터 계속되었는데 이 점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가 이번 판본의 리디자인을 통해 그 모습이 정말 멋있게 나오면서 어떻게보면 그 이미지를 확고하게 만들었다고 생각해요. 기존의 애매한 이미지에서 늪지에서 시체를 먹으면서 희생자를 기다리는 프레데터 같은 느낌으로 말이에요.

골드드래곤의 삽화와 같이, 각각 웜링, 어덜트 에인션트 블랙드래곤의 삽화에요. 레드나 블루 드래곤의 경우 에인션트의 삽화를 상술한 툿의 본점 툿에서 보여주었기 때문에, 레드와 블루 다음으로 삽화의 변화로서 특성과 성질머리를 보여줄 수 있는 드래곤을 골라서 보여드렸어요.

#티알피지 #디앤디2024 #티알토돈
daydream.ink/@90/1139615963880
본에서 디앤디 2024사의 몬스터 매뉴얼의 간략한 후기를 올리면서, 디앤디의 드래곤 이야기를 했었어요. 정확히는 드래곤 일러스트가 보여주는 삽화가 굉장히 취향이라는 이야기를 했었는데, 해당 툿은 적힌 시점이 다른 바람에 메탈릭 드래곤의 삽화를 작게 보여줄 밖에 없어서 신경이 쓰여서(._. ) 티알섭 계정으로 조금 더 길게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2024판의 몬스터 매뉴얼은 본점의 툿에서 말했다시피, 거의 모든 몬스터가 각 몬스터가 만들어낼 수 있는 상황을 묘사하는 삽화를 가지고 있어요. 몬스터매뉴얼을 홍보하는 공식 영상에서 유독 "저희 이번에는 삽화에 공을 들였습니다" 라는 말이 반복되었는데, 왜 그걸 반복했나 싶을 정도의 퀄리티였어요.

디앤디 2024판의 드래곤의 경우, 각 성장시기에 따라 드래곤 한 종류 당 4개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요.
웜링, 영, 어덜트, 에인션트까지의 데이터를 들고 있는데...
5판에서는 각 드래곤 당 한 종류의 삽화만 가지고 있던 것과 다르게2024판에는 웜링과 어덜트, 에인션트 드래곤의 삽화를 따로따로 준비했어요. 예시로서 이 툿에 달린 세개의 삽화는 각각

골드 드래곤 웜링, 어덜트 골드 드래곤, 그리고 에인션트 골드 드래곤이에요.

성장시기에 따른 모습 변화와 해당하는 드래곤이 보여줄 수 있는 장면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는 느낌이에요. 골드드래곤의 경우, 다른 드래곤들보다 조금 더 성스러운 수호자 같은 느낌을 보여주고, 저는 충분히 일러스트에서도 이 점이 드러난다고 생각해요.

컨셉아트를 보면 더더욱이 드래곤들의 리디자인이 명확한 방향성을 가졌다는 걸 볼 수 있어요. 골드드래곤의 경우, 기존 판본에서도 드래곤이면서 동양권에서 나타나는 신성한 용과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긴 꼬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컨셉아트에서 나타나는 상단에서 관측한 모습을 보면 짧은 날개로 인해 오히려 "신성한 검" 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거든요.

솔직히 말하면, 만약에 디앤디에 관심이 없더라도 오직 드래곤 일러스트 하나로 몬스터 메뉴얼을 구매한다면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요(이건 좀 과신이지만요)

안녕하세요! 이야기와 놀이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기쁜 날에 소식을 전하게 되어서 다행입니다.

우선, 다음 출간작이 될 푸른수염의 신부 소식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푸른수염의 신부는 한 권의 코어룰북과 세 권의 자료집(방의 서, 설화의 서, 거울의 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역은 모두 완료되었고, 마지막 자료집의 레이아웃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여러분께 펀딩을 통해 선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oC의 전투는 (흔히 "클래식 RPG라고 하면 뻔질나게 호출되는) D&D의 "적을 무력화하여 쓰러뜨리고 전리품을 챙겨서 튀는" 느낌이 아니라, "피할 수 없는 피해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살아서 도망가거나 퍼즐을 푸는" 느낌으로 접근하는 게 베스트긴 하죠.

굳이 따지자면 몬스터라는 이름의 기믹 퍼즐을 푸는 느낌, 약간 올드한 젤다의 전설 보스전 같은 느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시나리오에서 던져주는 아이템을 총동원해야 하는 것까지 말이죠!

reddit.com/r/rpg/s/K2A1i0bsn3

레딧에서 어떤 디앤디 5판 GM이 "우리 플레이어들은 어려운 전투를 원하지만 정작 죽는 건 원하지 않는다."라고 불평을 했는데, 거기에 달린 댓글이 통찰력 있어 보여서 간단히 소개합니다:

"너는 지금 세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는 딜레마에 빠져있다. 그 세가지 토끼는...

1. 캐릭터는 이 세계의 주인공이다. 이 게임은 캐릭터의 중요성과 성장에 집중한다.
2. 게임은 몇 세션 이상 지속된다.
3. 캐릭터는 죽을 수도 있다.

지금껏 나온 전통적인 RPG는 플레이어들이 이 세 가지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고 가정했지만, 사실 그건 불가능하다. 아무리 해봤자 두 마리까지 밖에 잡을 수 없다. 그래서 네가 포기해야 하는건..."

RPG에서는 캐릭터가 현실보다 더 과장되고, 더 노골적이어야 한다. 우리가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이 캐릭터가 이러이러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말로 하는 선언 밖에 없기 때문이다. 원래 의도보다 호들갑스럽게 부풀려야 간신히 원래 의도한 바대로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에일리언 RPG 2판(Evolved Edition)의 킥스 캠페인이 떴다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

그리고 2판 코어룰 뿐만이 아니라 2판 스타터세트, 새로운 시네마틱 캠페인 <랩쳐 프로토콜>, 그리고 미니어처 세트까지 다 하는거라...

다 하면 엄청 비싸진다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

아니 진짜로 이거 배송될 때 관세 내야할거 같은걸ㄷㄷㄷㄷㄷ

kickstarter.com/projects/11920

밀리터리 RPG 좋아하시는 분들께 추천하는 RPG 서플: Crisis Creator.

Modern War라는 RPG용 자료집인데, 가상의 국가를 만들어서 어떤 분쟁이 벌어지는가, 누가 개입했는가, 무슨 임무를 하는가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솔로 플레이로 밀리터리 임무를 제작하고 플레이하는 법도 소개합니다.

모 RPG 서플을 보는데, 돈 많이 버는 모험가가 일으키는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워터딥 가격제"를 하나의 방안으로 추천한다.

워터딥 상인들이 물건을 팔때....

시민들에게: 정가로 팝니다.
여행자들에게: +10~20%
기이한 무기를 갖춘 모험가들에게: +30~50%
유명한 영웅들에게: +100% 이상.